로딩 중...
계산 중...
연도별 한국 자살율 추이 (인구 10만 명당)
주요 정보
연도별 상세 데이터
자주 묻는 질문
자살률은 특정 인구 집단에서 1년간 인구 10만 명당 몇 명이 자살로 사망했는지를 나타내는 표준화된 비율(Standardized Rate)입니다.
단순히 사망자 수만으로 비교하면 인구가 많은 지역이 당연히 더 위험해 보이는 착시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. '인구 10만 명당'이라는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는 이유는, 인구 크기라는 변수를 제거하고 각 지역이나 국가 간의 자살 위험도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비교하기 위함입니다.
예를 들어, 두 도시의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.
- A 도시: 인구 100만 명, 연간 자살 사망자 200
- B 도시: 인구 10만 명, 연간 자살 사망자 30명
단순히 사망자 수만 보면 A 도시(200명)가 B 도시(30명)보다 6배 이상 심각해 보입니다. 하지만 자살률을 계산해 보면 진실은 다릅니다.
- A 도시의 자살률: (200명 ÷ 100만 명) × 10만 명 = 20명
- B 도시의 자살률: (30명 ÷ 10만 명) × 10만 명 = 30명
결과적으로,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는 B 도시가 더 많으므로 통계적으로는 B 도시의 자살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저희 사이트에 표시되는 자살율 23.2와 같은 수치는 '해당 인구 집단 10만 명 중 23.2명이 자살로 사망했다'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됩니다.
최근에 본 통계
차트 비교하기
비교 중인 항목
검색 결과
차트 비교 사용법
- 검색창에 비교하고 싶은 차트 이름을 입력하세요
- 검색 결과에서 항목을 클릭하면 현재 차트에 추가됩니다
- 비교 중인 항목의 × 버튼을 클릭하면 제거됩니다